모듈 2에서 배포를 생성했을 때, 쿠버네티스는 여러분의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에 파드를 생성했다. 파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 (도커 또는 rkt와 같은)들의 그룹을 나타내는 쿠버네티스의 추상적 개념으로 일부는 컨테이너에 대한 자원을 공유한다. 그 자원은 다음을 포함한다:
파드는 특유한 "로컬호스트" 애플리케이션 모형을 만들어. 상대적으로 밀접하게 결합되어진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들을 수용할 수 있다. 가령, 파드는 Node.js 앱과 더불어 Node.js 웹서버에 의해 발행되는 데이터를 공급하는 상이한 컨테이너를 함께 수용할 수 있다. 파드 내 컨테이너는 IP 주소, 그리고 포트 스페이스를 공유하고 항상 함께 위치하고 함께 스케쥴링 되고 동일 노드 상의 컨텍스트를 공유하면서 동작한다.
파드는 쿠버네티스 플랫폼 상에서 최소 단위가 된다. 우리가 쿠버네티스에서 배포를 생성할 때, 그 배포는 컨테이너 내부에서 컨테이너와 함께 파드를 생성한다. 각 파드는 스케쥴 되어진 노드에게 묶여지게 된다. 그리고 (재구동 정책에 따라) 소멸되거나 삭제되기 전까지 그 노드에 유지된다. 노드에 실패가 발생할 경우, 클러스터 내에 가용한 다른 노드들을 대상으로 스케쥴되어진다.
파드는 언제나 노드 상에서 동작한다. 노드는 쿠버네티스에서 워커 머신을 말하며 클러스터에 따라 가상 또는 물리 머신일 수 있다. 각 노드는 마스터에 의해 관리된다. 하나의 노드는 여러 개의 파드를 가질 수 있고, 쿠버네티스 마스터는 클러스터 내 노드를 통해서 파드에 대한 스케쥴링을 자동으로 처리한다.
모든 쿠버네티스 노드는 최소한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만약 컨테이너들이 밀접하고 결합되어 있고 디스크와 같은 자원을 공유해야 한다면 오직 하나의 단일 파드에 함께 스케쥴되어져야 한다.
모듈 2에서, Kubectl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를 사용했다. 배포된 애플리케이션과 그 환경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모듈3에서도 계속 그것을 사용할 것이다. 가장 보편적인 운용업무는 다음 kubectl 명령어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언제 애플리케이션이 배포되었으며, 현재 상태가 어떠한지, 그것의 구성은 어떠한지 등을 보기 위해 이러한 명령을 이용할 수 있다.
이제 클러스터 컴포넌트와 커맨드 라인에 대해 알아 보았으니, 애플리케이션을 조사해 보자.
노드는 쿠버네티스에 있어서 워커 머신이며 클러스터에 따라 VM 또는 물리 머신이 될 수 있다. 여러개의 파드는 하나의 노드 위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 페이지가 도움이 되었나요?
피드백 감사합니다. 쿠버네티스 사용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이고 답변 가능한 질문이 있다면, 다음 링크에서 질문하십시오. Stack Overflow. 원한다면 GitHub 리포지터리에 이슈를 열어서 문제 리포트 또는 개선 제안이 가능합니다..